카테고리 없음

[스크랩] 제 9탄 화본과 헤이를 정리합니다

jjs2275 2011. 2. 15. 20:34

이제껏 한국에 유통중인 대표적인 화본과 헤이를 알아봤습니다

티모시 연맥 클라인 ... 이외의 오차드와 버뮤다 수단을 점검하고 다음 편에 짚 종류를 정리하고  엘로우 핑크 수단을 마지막으로 쓰고 이 시리즈 글을 끝내려고합니다

 

1.오차드 건초...

과거 티모시와 같은 급의 건초로 호평을 받던 건초인데 ... 유행에 편승하지 못해서 잘팔리는 티모시에 눌려서 이젠 재배 면적이 줄어서 거의 유명 무실한 건초로 전락을 했습니다

미국 말 시장에서는 티모시보다도 더 호평을 받은 적도 있었습니다

서울 상암동 난지도 공원에 풀밭을 만들려고 뿌려진 티모시나 라이그라스 등의 여러가지 목초 씨앗 중에 오차드가 가장 멋들어집니다

 

2.버뮤다

골프장이나 집마당의 잔디밭용으로도 수요가 많은 풀입니다

그래서 짚도 꽤나 많이 생산이 되기도합니다만 쓰임새가 거의 없습니다

칼리포니아 남쪽지역에서 많이 생산이 되는데 겨우내 묵은 풀을 먹던 말들에게 부드럽고 향긋한 새로운 풀을 먹이고 싶은 마주들에게 비싼 가격으로 팔려나갑니다

그래서 4월에 생산되는 1번초 버뮤다는  가격이 많이 비싸고 5월말 6월에 종자를 채취한 후에 여름에 예취한 질이 떨어지는 2번초 버뮤다는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합니다

 

품종은 몇가지가 있지만 크게 두가지입니다

뻣뻣하면서 짧은 초종과 가늘고 길면서 부드러운 종류입니다

요즘 자이언트 버뮤다라고 길면서 굵은 버뮤다가 생산이되고 있다고합니다

 

뻣뻣하고 잘부러지는 버뮤다의 시장은 대만입니다 ... 생산량의 대부분이기도합니다

 

대만은 덥고 습도가 높아 더위에 약한 홀스타인 종의 소들이 먹기 편하게 한입 베어 먹으면 와작 부러지는 버뮤다를 선호합니다

빈면 한국은 부드럽고 질긴 것이 되새김에 도움이 된다고 선호합니다

대만 갈 것이 한국으로 오면 ... 당연 클레임이납니다 ..난리도 그런 난리가 아니라는거... 부서져서 가루지는 것이 잘못 들어 오면 한참을 머리가 아픈겁니다

 

 화본과 중에서 영양성분은 티모시 다음으로 높긴하나 그 의미가 적습니다

 

3.수단

한국에서도 청초로 재배해서 많이 쓰시니 잘 알고 계실 것 같지만 의외로 수입 수단은 잘 모르십니다

헤이 시장을 만들 때 호주산 연맥이나 클라인 그라스에 밀렸던 것이 첫번째 이유이고 가격이 싼 것을 찾다가 저질의 수단이 들어 오는 바람에 수단하면 ..저질이란 공식이 우리 농가 머리에 각인이 된 것이 두번재 이유입니다

 

예취가 며칠만 늦어져도 줄기가 굵어지면서 아랫부분의 목질화가 급격히 진행이됩니다

그러다보면 아랫부분이 가느다란 대나무처럼.. 모양도 단단하기도....보이는 뱀부 수단이란 말로 표현합니다

 

그러나 사실은 아직까지 일본 수입 화본과 시장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건초가 수단입니다

일본에서는 건초하면... 수단입니다

 

한우에서 수단은 ... 특별히 주목을 해야 할 것이 있습니다

엘로우 핑크 수단이라고 하는 것인데 .. 수단의 품종이 아니고 키우는 방식에 따라서 만들어진 수단의 종류입니다

이 엘로우핑크 수단은 제가 별도로 거론을 할 만큼 한우에 가치가 있는 건초입니다

 

4.중국산 양초

중국 건초 유통업자들 중에선 나에게 양초 수출의 아버지란 말을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1995년 화본과 수입 첫해부터 볏짚보다 더 싼 건초를 구해오란 한국 낙농가의 명을 받들어 중국을 뒤집고 헤매고 다녔습니다

집앞 논에서 걷은 볏짚보다 더 싼가격에 재배한 건초를 구해오라는 말을 하는 분들이나 ... 그런다고 그 말을 진짜로 실행한 나나 서로 문제가 좀 있는 사람들입니다 ...ㅎㅎㅎㅎㅎ

 

어쨌던 초창기엔 그렇게 볏짚보다도 싼 양초를 공급했었고 2000년 한국과 일본의 구제역 발생 이후 일본으로 양초 수출이 중단되어 일본으로 비싼 가격에 수출되던 좋은 품질의 양초를 내가 맡아서 더 높은 미국식 품질관리를 한 덕에 한국 농민들에게 인정을 받아 한국으로 들여 오는 일을 포함해서 양초 취급을 지난 15년간 했습니다

 

그러나 중국의 내수 가격 급등과 수요 증가로 한국에 판매할 양초가 없다고 대련의 수출 양초 소독장을 폐쇄하면서 나의 중국 양초 15년의 역사도 작년으로 막을 내렸습니다

 

5.동남아산 슈가케인탑

동남아 여러나라에서 설탕 생산에서 부산물로 생산되는 사탕수수의 잎과 머리부분의 연한 부분을 건조해서 수입을 한 적이 있습니다만 이제 그 정도 품질의 건초는 한국에서 수요도 없고 ... 결정적으로 수출국들이 구제역 상재국이라 건초를 소독해야 할 건초소독장이 있어야하는데 그런 것을 투자하고 품질 관리를 할 여건이 아직 안되는 것이 현실입니다

다만 미국산 건초가 지금보다 더 많이 비싸진다면 가격적인 경쟁력을 만들어 틈을 노릴 수도 있겠지만 쉽진 않을겁니다

 

다음 글엔 짚 종류... 톨 페스큐 라이그라스 두종류 블루그라스 등입니다

오늘은 여기까지입니다

출처 : [Daum우수카페]귀농사모
글쓴이 : 조영현 원글보기
메모 :